어린이 구독자들을 위한 역사 이야기!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 & 노량해전에서 승리한 방법🌊 [주니어사피엔스 EP.2]
  • Information
  • 23.01.04 오전 09:47:33

한국사 영재 11살 하랑쌤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피엔스 오리지널 '주니어사피엔스' ✨요약 정리✨ 00:00 이순신 장군 이야기 04:50 명량해전 07:45 노량해전 ​◆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kyhjmd486 ​​◆ 네이버 [행복한 책육아] 카페: https://cafe.naver.com/kyhjmd #주니어사피엔스 #사피엔스스튜디오........

일본의 극비 인체실험 731부대
  • Information
  • 22.12.31 오전 06:58:43

#당신이몰랐던이야기 #당몰이 #731 #731부대 #마루타 #역사 #2차세계대전 구독: http://bitly.kr/gvgP2ge 참고자료 : (제731부대의 진상을 파헤친) 일본군 세균전 김성민, 하성금 / 731부대와 마루타 김중위 /만주의 ‘벌거벗은 생명’과 731부대 特設監獄의 생체실험 희생자-1938~1945년 관동군의 特殊移送 자료를 중심으로 서이종 / 일본제국군의 세균전 과정에서 731부대의 농안,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의의 서이종 / 731부대와 간도 한민족의 희생에 관한 고찰 신용우 https://www.nytimes.com/1995/03/17/world/unmasking-horror-a-special-report-japan-confronting-gruesome-war-atrocity.html / https://unit731.org/ https://www.nocutnews.co.kr/news/4163039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504115#home / http://m.weekly.khan.co.kr/view.html?med_id=weekly&artid=10415&code=#c2b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059........

애플 유저들은 꼭 보세요! 애플이 곧 없애버릴 '이것'... 예상도 못했을걸요?
  • Information
  • 22.12.29 오후 04:31:09

애플이 차세대 맥북에 탑재될 새로운 신기술을 특허 출원했습니다. 과연 또 다른 혁신을 불러올 수 있을까요?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SPMRoAphbObUYeDaX367Fg/join - 내용출처: 1. David, “애플 터치센서 통합 유리 키보드 맥북 특허”, 사이언스모니터, 2022 2. Wang et al, “Computer With Keyboard”, US 20220365566A1, 2022 3. Patently Apple, “Apple continues to work on a Glass MacBook with a Glass Keyboard with raised Touch Sensitive Keys”, 2022 4. Michael Archambault, “Apple patents a transformable glass keyboard for MacBooks”, digitaltrends, 2019 5. Malcolm Owen, “Future MacBook Pro might have solid state keyboard, like its trackpad”, Future MacBook Pro might have solid state keyboard, like its trackpad”, apple insider, 2022 6. Lehmann et al,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US 011500538B2, 2022 7. 신기섭, “스마트폰 충전 USB-C만 허용… 아이폰 충전선 이제 안녕”, 한겨레, 2022 - BGM: 1. Destiny by Amir Marcus 2. Chariots of War by Aakash Gandhi, 3. Arise a Legend by C.K. Martin - Chapter 0:00 스티브 잡스 1:00 아이폰 USB C타입 2:05 맥북의 미래 3:48 애플의 미래 5:13 사람들의 예상 반응 6:29 마무리........

서울 탑골공원 옆 공터에서 발견된 의문의 금속, 현대과학으로도 풀지 못했다.|5천년 전부터 극소수 한국인에게만 전수된 비밀, 반도체보다 더 신기한 1급 기밀
  • Information
  • 22.12.28 오전 08:43:19

서울 탑골공원 옆 공터에서 발견된 의문의 금속, 현대과학으로도 풀지 못했다.|5천년 전부터 극소수 한국인에게만 전수된 비밀, 반도체보다 더 신기한 1급 기밀 인류는 예로부터 흙, 나무, 돌 등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그릇을 만들어왔으나 놋그릇, 즉 구리를 이용해 그릇을 만든 나라는 전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합니다. 유기(鍮器)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이는 ‘놋그릇’의 한자식 표현인데 유기에는 구리와 주석을 섞어 만든 ‘청동(bronze)’과 구리와 아연을 합금한 ‘황동(brass)’으로 구분됩니다. 신라가 가장 번성했던 경덕왕 11년(752년) 3월, 신라의 왕자 김태렴은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일본을 방문해 ‘비즈니스’ 외교를 시작합니다. 그런데 당시 일본 귀족들의 관심은 김태렴 왕자가 아니라 사절단에 포함된 상인들이 가져온 신라의 물건에 있었죠. 왕자 등 일부 사절단이 간사이 지방의 일왕을 만나러 간 동안 신라상인들은 공예품, 향료, 비단 등을 펼쳐놓고 장사를 시작했는데 그때 일본 귀족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았던 품목은 단연 놋그릇이었습니다. ‘속일본기’ 등 당시를 기록한 일본의 역사서들은 이들이 판매했던 물품들을 기록하고 있는데 일본 왕실의 옛 보물창고인 ‘쇼소인’에는 당시 귀족들이 사고 싶어했던 신라산 무역품의 목록을 적어둔 ‘매신라물해’라는 문서가 지금도 남아 있습니다. 그 중 놋그릇의 인기가 하늘을 찌를만큼 높았던 것은 아무래도 나무 그릇을 사용하던 일본인들에게 신문물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유기는 재료의 성분과 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넓은 의미로 보자면 ‘구리’를 베이스로 하는 비철금속계의 합금으로 그 기원은 청동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런데 전세계에서 이 ‘유기’를 가장 잘 사용한 것은 우리 한민족입니다. 이미 신라시대에 유기 제작을 담당하는 ‘철유전’이라는 담당기관을 별도로 두면서 합금기술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는데 그래서 중국에서는 신라가 만든 유기를 두고 ‘신라동’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문헌에도 나타나있는데 명나라 이시진은 “페르시아 동(銅)은 거울을 만드는 데 좋고, 신라동은 종을 만드는 데 좋다”고 쓰고 있고, 1490년 동월은 “고려동(高麗銅)은 질이 우수하여 당(唐)과 송(宋)에서 수입하였다”고 기록하고 있기도 합니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그 합금기술은 더욱 발전했고 화폐, 금속활자, 악기, 생활용기 등에 유기가 사용됐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놋그릇을 그렇게나 사랑했던 일본인들이 일제시대 전쟁물자로 사용한다면 각 가정마다 남아있던 놋그릇을 전부 수탈해가는 바람에 한동안 그 맥이 끊기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놋기술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방짜’입니다. 유기는 제작 기법에 따라 ‘방짜’와 ‘주물’로 나뉘는데 주물은 구리에 아연, 주석 합금의 쇳물을 거푸집에 부어 촛대, 향로, 화로 등을 만드는 기법이고, 방짜는 구리와 주석 합금을 녹여 쇳물을 만든 후 이를 바둑알 모양의 둥근 놋쇠덩어리로 만들어 망치로 쳐서 모양을 잡아가는 기법을 말합니다. 방짜로 만든 것은 인체에 무해했던 덕분에 식기류로 애용됐고 소리가 청명해 꽹가리를 만들기도 했는데요. 현재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유기 제작방법은 경기도 안성에서 만들었던 주물제작법, 평안북도 정주에서 만들었던 방짜제작법, 전남 순천에서 만드는 반방짜제작법이 있습니다. 그 중 안성의 주물제작법은 가장 쉽게 놋그릇을 만드는 방식이면서 그 조형미가 아름다워 ‘안성맞춤’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 디씨멘터리 채널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채널에서는 한국, 한국경제, 한국역사 및 대한민국과 관련된 해외반응 및 외국인반응 등을 다룹니다.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을 시청하시려면 구독해주세요(https://bit.ly/3UhfRJF) 💬영상에 댓글로 영상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영상을 놓치지 않으려면 구독 옆의 종모양을 누르시면 됩니다. ⏱ 영상이동 0:00 - 인트로 & 조선호랑이 0:57 - 인사동에서 발견된 보물 2:39 - 보신각의 비밀 4:30 - 한국인만 쓰는 구리그릇 6:52 - 방짜란? ---------------------------------------------------------------------------------------- 디씨멘터리 채널과 광고 협업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이메일로 문의해주세요. dcmentary@naver.com 또한 디씨멘터리에서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1. 제 채널에서 영상으로 다루기를 바라는 주제 2.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영상 dcmentary@naver.com 으로 보내주시면 소중히 제작하겠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참고문헌 - 김종태, “놋그릇(鍮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7년. - 박봉영, "[현장기록 ‘잃어버린성지’] 9 서울 원각사", 불교신문, 2019년 11월 24일. - 박신원, "왜 인사동일까…조선전기 금속활자·유물 출토 '미스터리'", 서울경제, 2021년 6월 29일.- 김연희, "인사동 79번지 그 아래 엄청난 것이 숨어있었다", 시사인, 2021년 7월 22일. - 육성연, “‘살균에 온도까지’ 놋그릇, 다시봐야 보인다”, 리얼푸드, 2019년 9월 10일. - 윤용현, “전통 속에 살아 숨 쉬는 첨단 과학 이야기/우리 민족의 신기술 '유기'”, 교학사, 2012년 4월 30일. - 이은진 외 1인, "식품제조 환경에서 식품위해세균의 교차오염 감소를 위한 청동합금 유기의 살균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3권 4호, 2008년. - 이종호, "[KISTI 과학향기]신비한 청동기술이 녹아있는 '방짜'", 헬로디디, 2006년 4월 25일. - 이종호, “신비한 청동기술이 녹아있는 방짜”, KISTI의 과학향기, 2006년 4월 26일. - 하정은, "보신각종 아니라 ‘원각사 범종’이다", 불교신문, 2004년 12월 22일. - 한경심, “놋쇠로 만든 그릇 유기”, 동아일보, 2012년 10월 13일.........

위생백 봉지는 칼로 잘라 사용해야 한다구요...? #shorts
  • Information
  • 22.12.28 오전 08:42:10

#위생봉지 #위생봉투 #봉지 #봉투 #위생백 #꿀팁 ▶쓰레기 봉투 칼로 잘라 써야 하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7OxIfIpQMew........

100년 전 하버드대 식물학자가 제주도에서 몰래 미국으로 가져간 식물|한라산 정상에서 일본인 참교육시킨 미국인
  • Information
  • 22.12.27 오후 02:33:51

100년 전 하버드대 식물학자가 제주도에서 몰래 미국으로 가져간 식물|한라산 정상에서 일본인 참교육시킨 미국인 연말이 다가오면 거리는 온통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물씬 풍깁니다. 예쁜 조명을 주렁주렁 매달고 있는 크리스마스트리는 온 겨울 내내 연인들을 들뜨게 하죠. 그런데 이 크리스마스트리 중에는 외부에 설치되는 트리와 실내에 설치되는 트리는 서로 종이 다른데요. 원래 옛날부터 서양에서는 실내외 구분없이 독일의 가문비나무를 공통적으로 사용했는데 어느 순간 실내용 트리는 한국의 구상나무가 완벽히 대체해버렸습니다. 왜냐면 가문비나무는 수형이 멋져 크리스마스트리로 제격이지만 너무 웃자라고 높이 크는 탓에 실내에 두기가 어려웠죠. 구상나무가 서양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크기도 적당하고 수형이 멋드러지게 잡히는 덕분에 이제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트리는 거의 대부분 구상나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구상나무를 서양에 처음으로 소개한 사람이 바로 1917년 제주도 한라산에 오른 영국 출신의 미국인 식물학자 ‘윌슨’입니다. 1917년 태평양을 건너 제주도에 도착한 윌슨은 10월 31일부터 11월 5일까지 한라산을 올랐는데 이때 윌슨을 안내한 이가 바로 일본인 나카이입니다. 그리고 이 장면은 구상나무 연구사에 획기적인 명장면을 만들어내죠. 조선 식물의 최고 권위자였던 일본인 ‘나카이’와 Chinese Wilson이라는 별명을 가졌을만큼 아시아식물의 최고 권위자로 불리던 ‘윌슨’ 두 사람이 함께 한라산을 오른 겁니다. 그들은 각자 자신의 생각에 확신을 가지고 있었는데 함께 숙박하고 식사하고 일주일을 동행하면서도 한마디 대화도 나누지 않았습니다. 이 구상나무의 신종 명명자가 일본이 될 것인가 미국이 될 것인가 한 번 정해지면 영원히 바뀌지 않는 명명자의 지위를 얻기 위한 보이지 않는 경쟁이 시작된 겁니다. ---------------------------------------------------------------------------------------- 디씨멘터리 채널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채널에서는 한국, 한국경제, 한국역사 및 대한민국과 관련된 해외반응 및 외국인반응 등을 다룹니다.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을 시청하시려면 구독해주세요(https://bit.ly/3UhfRJF) 💬영상에 댓글로 영상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영상을 놓치지 않으려면 구독 옆의 종모양을 누르시면 됩니다. ⏱ 영상이동 0:01 - 인트로 & 조선호랑이 2:34 - 일제가 실시한 토지수탈작업 5:27 - 하버드 식물학자가 일본인 참교육시킨 이유 7:18- 하버드로 가져간 한국식물 9:33 - 역사의 아이러니 ---------------------------------------------------------------------------------------- 디씨멘터리 채널과 광고 협업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이메일로 문의해주세요. dcmentary@naver.com 또한 디씨멘터리에서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1. 제 채널에서 영상으로 다루기를 바라는 주제 2.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영상 dcmentary@naver.com 으로 보내주시면 소중히 제작하겠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참고문헌 - E. H. Wilson, "FOUR NEW CONIFERS FROM KOREA", Journal of the Arnold Arboretum 1권 3호, 1920년. - 강찬수, "제주도? 일본?…왕벚나무 원산지 110년 논란 종지부", 중앙일보, 2018년 9월 13일. - 고현준, "(현장포커스) 한라산 구상나무에 열매가 주렁주렁..왜(?), 제주도는 '관심 전무', '한심'.", 제주환경일보, 2022년 7월 21일. - 김찬수, "미․일 학자 간 자존심 경쟁, 마침내 ‘아비스 코리아나’", 서귀포신문, 2021년 8월 10일. - 송미경, "크리스마스 트리의 고향이 한국이라고?", 에듀진, 2017년 12월 22일. - 엔도 기미오, "한국 호랑이는 왜 사라졌는가", 이담, 2009년. - 여미지식물원, "구상나무". - 조홍섭, “한국호랑이는 언제, 왜 사라졌을까”, 한겨레, 2009년 12월 29일.........

분리수거한 쓰레기는 어떻게 재활용 될까?
  • Information
  • 22.12.24 오전 12:56:33

#shorts 플라스틱 재활용 과정 풀영상: https://youtu.be/dPptUqyH2pg - 긱블샵 : https://geekble.shop/home 긱블 네이버 스토어 : https://smartstore.naver.com/geekble 긱블 카카오 채널: https://pf.kakao.com/_dWPQK - 긱블 카페 : https://cafe.naver.com/geekbleofficial 긱블 채용정보 : https://geekble.team - 영상 속 메이킹을 경험하고 싶다면! 지금 긱블샵 방문하기 : https://bit.ly/3UNg7RW 카카오 플친 맺고 빠르게 긱블 소식 듣기 : https://pf.kakao.com/_dWPQK - 긱블 카페 : https://cafe.naver.com/geekbleofficial 긱블 채용정보 : https://geekble.team........

'종의 기원' 찰스 다윈의 이론이 틀렸음을 증명해 세상을 바꾼 한국인 과학자_이휘소 박사는 못해냈지만 씨앗 하나로 세상을 바꾼 한국인이 있다.
  • Information
  • 22.12.24 오전 12:47:29

세계 최고 석학이라 불리던 일본인 과학자, 한국에서 죽기로 결심한 이유|실제이야기|찰스 다윈보다 더 뛰어났던 한국인|영국 케임브리지대 졸업생들에게 나눠주던 한국인 과학자 졸업논문 죽음을 앞둔 그였으나 한참 실험 중이던 벼를 돌보기 위해 링거줄에 벼를 담은 비닐봉투를 달아두고 관찰했죠. 그가 타계하기 3일 전 농림부는 그의 열정에 감사한다는 의미로 문화포장을 수여하고 기념메달을 걸어주었는데 그는 그 자리에서 “조국이 나를 인정했다”며 한없이 눈물을 흘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실 그가 한국에 올 당시 일본에는 그의 어머니와 아내, 6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습니다. 가족들의 생계가 걱정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에 돌아온 후 생을 마감할 때까지 가족들과 떨어져서 살았는데요. 그의 아버지가 친일파로 민비 시해사건에 가담한 죄로 그 역시 태어날 때부터 친일파의 아들이라는 무거운 짐을 안고 태어났고 한국에서도 늘 ‘우범선의 아들’ 또는 ‘친일파 후손’이라는 꼬리표가 늘 붙어 다녔습니다. 다만 그는 아버지의 조국 한국을 위해 자신의 몸과 능력을 바쳐 식량자급자족에 몸 바쳤고, 귀국 당시에 이 나라를 위해 뼈를 묻겠다는 그 약속도 지켰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우리가 지금 누리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한 번쯤은 잘 익은 김치를 먹을 때 이를 위해 평생을 바친 우장춘 박사를 떠올려 보는 건 어떨까요? ---------------------------------------------------------------------------------------- 디씨멘터리 채널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채널에서는 한국, 한국경제, 한국역사 및 대한민국과 관련된 해외반응 및 외국인반응 등을 다룹니다. ❤️앞으로 더 많은 영상을 시청하시려면 구독해주세요(https://bit.ly/3UhfRJF) 💬영상에 댓글로 영상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영상을 놓치지 않으려면 구독 옆의 종모양을 누르시면 됩니다. ⏱ 영상이동 0:00 - 세계 최고 물리학자, 이휘소 1:50 - 우장춘, 그는 누구인가? 6:37 - 일본인 과학자가 한국에서 죽기로 한 이유 ---------------------------------------------------------------------------------------- 디씨멘터리 채널과 광고 협업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이메일로 문의해주세요. dcmentary@naver.com 또한 디씨멘터리에서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1. 제 채널에서 영상으로 다루기를 바라는 주제 2.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영상 dcmentary@naver.com 으로 보내주시면 소중히 제작하겠습니다. #해외반응 #우장춘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참고문헌 - 문고정, “지니어스 우장춘 박사의 작품들 (ft.오늘날 배추김치)”, 콜드브루라이프, 2021년 10월 24일. - 민태기, “우리가 먹는 속이 꽉찬 김장 배추, 우장춘의 ‘김치 혁명’ 덕분이었다”, 조선일보, 2022년 11월 14일. - 부산광역시, “한국 농업 기술의 아버지 우장춘”, 부산광역시공식블로그, 2022년 10월 14일. - 신향숙, “아삭한 채소를 개발한 한국 대표 농학자 우장춘”, 생글생글, 2022년 8월 18일. - 이용재, “속이 꽉찬 우장춘 '무와 배추'...쓰라린 역사의 산물”, 한국일보, 2022년 9월 3일. - 이종춘, “우범선(禹範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5년. - 전재욱, “‘8월10일’ 우장춘 박사 별세…매국노가 낳은 애국자”, 이데일리, 2022년 8월 10일. - 정만진, “우범선 처단 의사들, 독립유공자로 인정해야”, 오마이뉴스, 2020년 10월 11일. - 현원복, “우장춘(禹長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5년.........

미개한 미국 단위. 이것만 알면 OK!
  • Information
  • 22.12.20 오후 09:18:40

1️⃣2️⃣ Math 구독하기 👍 : http://bit.ly/3Pw2NOG........

유통기한 지난 치약 버리지 마시고 주방에 보관하세요. 모든 가족의 고민 문제가 해결됩니다. 치약 재활용 방법 5가지 toothpaste recycling
  • Information
  • 22.12.15 오후 11:00:56

#치약 #재활용 #꿀팁 #생활꿀팁 오늘은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사용하고 남은 치약을 바로 버리지 않고 부엌과 욕실에서 유용하게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5가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집꿀상점 제품⭐ 1. 실리콘빗자루 https://bit.ly/36J6CyV 2. 손빗자루 https://bit.ly/3HoemTm 3. 문에 끼지 않는 슬리퍼 https://bit.ly/33ib6e9 4. 실리콘 투명 양면 테이프 https://bit.ly/31PJVq5 5. 클리어 후크 https://bit.ly/3IFzmqD 6. 택배언박싱 가위칼 https://bit.ly/339ucTM "영상속 제품 정보'' - 배수구 거름망 : https://bit.ly/3yBB6xc (링크 통한 구매시 일정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 Track : 등짝스매싱 - https://youtu.be/UNLRynbm7Cc........